반응형
국소배기장치는 기본적으로 후드-->덕트-->공기정화장치-->송풍기 순으로 배치된다.
후드(Hood)
• 국소배기장치의 시작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모으는 부분
• 오염물질이 충분히 들어오도록 모양, 크기, 제어속도 등이 중요
※ 관리대상물질 법정제어풍속
물질의 상태 | 후드 형식 | 제어 풍속(m/sec) |
가스 상태 | 포위식 포위형 외부식 측방흡입형 외부식 하방흡입형 외부식 상방흡입형 |
0.4 0.5 0.5 1.0 |
입자 상태 | 포위식 포위형 외부식 측방흡입형 외부식 하방흡입형 외부식 상방흡입형 |
0.7 1.0 1.0 1.2 |
-가스상태란 관리대상 유해물질이 후드로 빨아들여질 떄의 상태가 가스 또는 증기인 경우를 말한다.
-입자상태란 관리대상 유해물질이 후드로 빨아들여질 때의 상태가 흄, 분진 또는 미스트인 경우를 말한다.
덕트(Duct)
• 공기가 흐르는 관
• 후드, 공기정화장치, 송풍기를 연결하는 관
공기정화장치
•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
송풍기(Fan)
• 공기를 흐르게 하는 동력
반응형
'건축, 전기, 기계, 화공,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 시행일 이전에 설립된 사업장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의무 (0) | 2021.06.08 |
---|---|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업종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 (0) | 2021.06.08 |
공정안전보고서(PSM) 도시가스 취급량은 일일 사용량 기준입니까? 설계기준입니까? (0) | 2021.05.04 |
슈퍼푸드 고구마, 도대체 뭐가 들어있길래 (0) | 2021.03.30 |
접지선 굵기 계산 (0) | 2021.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