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전기설비규정의 표 142.1-1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에 따라 계산하거나,
여기서,
k1: 도체 및 절연의 재질에 따라 KS C IEC 60364-5-54(저압전기설비-제5-54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표 A54.1(여러 가지 재료의 변수 값)” 또는 KS C IEC 60364-4-43(저압전기설비-제4-43부:안전을 위한 보호-과전류에 대한 보호)의“표 43A(도체에 대한 k값)”에서 선정된 선도체에 대한 k값
k2: KS C IEC 60364-5-54(저압전기설비-제5-54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표 A.54.2(케이블에 병합되지 않고 다른 케이블과 묶여 있지 않은 절연 보호도체의 k값) ~ 표 A.54.6(제시된 온도에서 모든 인접 물질에 손상 위험성이 없는 경우 나도체의 k값)”에서 선정된 보호도체에 대한 k값
a: PEN 도체의 최소단면적은 중성선과 동일하게 적용한다[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5-52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 참조].
나. 차단시간이 5초 이하인 경우에만 다음 계산식을 적용한다.
여기서,
S: 단면적(㎟)
I: 보호장치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예상 고장전류 실효값(A)
t: 자동차단을 위한 보호장치의 동작시간(s)
k: 보호도체, 절연, 기타 부위의 재질 및 초기온도와 최종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로 KS C IEC 60364-5-54(저압전기설비-제5-54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부속서 A(기본보호에 관한 규정)”에 의한다.
반응형
'건축, 전기, 기계, 화공,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안전보고서(PSM) 도시가스 취급량은 일일 사용량 기준입니까? 설계기준입니까? (0) | 2021.05.04 |
---|---|
슈퍼푸드 고구마, 도대체 뭐가 들어있길래 (0) | 2021.03.30 |
2020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0) | 2021.03.27 |
크레인 와이어 로프 교체기준 (0) | 2021.03.27 |
전기 기계·기구의 접지 (0) | 2021.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