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술사 자료116

직렬리액터 역할과 기능 직렬 리액터(Series Reactor) 개요1. 정의직렬 리액터(Series Reactor)는 전력 시스템에서 단락 전류를 제한하고, 전압 변동을 완화하며, 전력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회로에 직렬로 삽입되는 유도성 부하(Inductive Load)이다.2. 주요 기능 및 역할1. 단락 전류 제한: 고장 시 높은 돌입 전류를 감소시켜 전력 설비 보호2. 전압 변동 완화: 부하 변동 시 전압 변화를 완충하여 전압 안정성 확보3. 고조파 억제: 고조파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여 전력 품질 개선4. 무효 전력 보상: 인덕턴스를 이용한 무효 전력 조정으로 역률 개선5. 계통 안정성 향상: 송전 및 배전 시스템에서 전력 흐름 조절을 통한 시스템 신뢰성 증대3. 설계 요소1. 정격 전류(Current Rating): .. 2025. 4. 1.
피뢰기 정격전압 산정 방법 1. 피뢰기 정격전압 산정시 고려사항 : 최고 허용전압 하에서 1선 지락사고 시 건전상의 대지전압으로 작동하지 않게 여유를 두어 산정한다.2. 피뢰기 정격전압 산정 방법 1) 정격 전압 = 공칭전압 *(1.4/1.1) 2) 정격전압=ab*(V/루트3) a : 접지계수 (비유효 접지계 : 1*루트3, 유효 접지계 : (0.65~0.8)*루트3) 유효접지란, 1선 지락 사고 시 건전상의 대지전위가 정상 상태보다 1.3배 이하로 되는 접지 방식을 말합니다. 또한 접지계수가 80%를 초과하지 않는 접지계통도 유효접지라고 합니다. b : 여유도(1~1.5) 3) 접지방식에 따른 공칭전압 (1) 직접접지 : 0.8kv~1.0kv (2) 저항, 소호리액턴.. 2025. 2. 22.
피뢰기 용어 정리 ※피뢰기 용어1. 직렬 갭(Series Gap) 특성요소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 으로, 특성요소와 조합하여 평상 시와 과전압 시 스위치 작용을 한다.2. 특성요소피뢰기 주요 구성품으로 방전 시 대전류를 통과시키고, 방전 후에는 속류를 차단한다.3. 속류(Follow Current)방전 후에도 피뢰기에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4. 방전개시전압실질적으로 피뢰기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최저의 사용주파 전압의 실효치다.5. 충격방전개시전압충격파 인가 시 전압강하 시작 전 단자간 최고전압을 방전 개시 전압이라 한다. 2025. 2. 22.
전기품질 기준 표준전압 110V --> 허용오차 상하 6V표준전압 220V --> 허용오차 상하 13V표준전압 380V --> 허용오차 상하 38V표준주파수 60Hz --> 허용오차 0.2Hz전압 및 주파수 측정발전, 송전 사업자 --> 전압, 주파수배전, 전기판매 사업자 --> 전압한국전력거래소 --> 주파수 2025. 2. 13.
피뢰기 시설 설치기준 피뢰기 시설 설치기준1) 설치장소(1) 발변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2)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측 및 특고압 측(3)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4)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2) 설치위치(1) 케이블 종단, 케이블 양단, 가공선과 케이블 접속점(2) 수변전 인입 측에 PF, COS전단에 설치(3) 주 보호는 변압기이므로 변압기에 근접하도록 설치 2025. 1. 30.
피뢰기 제한전압 피뢰기 제한전압이란 방전 중 과전압이 제한되어 양단자 사이에 잔류하는 충격(Impulse)전압으로 방전전류 및 파고값 및 파형에 따라 걸정된다 2025. 1. 28.
피뢰기 속류 속류(follow current)는 방전 후에 절연을 회복하지 못하고 흐르는 전류로서, 속류가 지속된다면 1서뉴지락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2025. 1. 28.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7가지) 유해·위험설비를 보유한 사업주는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 7가지를 쓰시오.1. 제출대상관련 기준: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제43조1) 원유 정제처리업2) 기타 석유정제물 재처리업3)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또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물질 제조업. 다만,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물질 제조업은 별표 13 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로 한정한다.4) 질소 화합물, 질소·인산 및 칼리질 화학비료 제조업 중 질소질 비료 제조5) 복합비료 및 기타 화학비료 제조업 중 복합비료 제조(단순혼합 또는 배합에 의한 경우는 제외한다)6) 화학 살균 · 살충제 및 농업용 약제 제조업[농약 원제(原劑) 제조.. 2025. 1. 28.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른 보호도체 선정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른 보호도체 선정1)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상도체 단면적 S(㎟)에 따라 선정* • S • 16≺ S • 35≺ S : S/22)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계산식 ∙ S : 단면적[㎟] ∙ I : 보호장치를 통해 흐를 수 있는 예상 고장전류 실효값[A] ∙ t : 자동차단을 위한 보호장치의 동작시간[s] ∙ k : 보호도체, 절연, 기타 부위의 재질 및 초기온도와 최종온도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3) 보조 등전위본딩 도체 단면적보조 보호등전위본딩 도체1. 두 개의 노출도전부를 접속하는 보호본딩도체의도전성은 노출도전부.. 2025.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