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프

골프 손맛은 임팩트의 결과물이다

by 7 investment 2021. 4. 8.
반응형

"다운 블로우 이해하면 '골린이'도 손맛 본다"

손맛 나는 임팩트는 리듬감이 살아 있는 스피드한 스윙에서 나온다

볼이 정확하게 맞지 않는 것 같아요. 볼터치의 딱딱한 느낌이 손바닥에 전해질 때 여지없이 볼이 뜨지 않거나 비거리가 줄어 애를 먹어요."
볼터치는 임팩트의 다른 표현이다. 클럽페이스와 볼이 충돌하는 순간 손에 전달되는 감촉을 우리는 '손 맛'이라고 일컫는다.

손맛이 좋은 날의 라운드는 성적은 물론, 창공을 날아다니는 다운 블로우 임팩트를 경험할 수 있다. 반면 임팩트가 정확하게 볼의 후사면을 강타하지 못하고 소위 토핑성 볼이나 두껍게 임팩트가 이뤄지는 뒤땅 성 임팩트는 그립한 손에 강한 진동과 더불어 딱딱한 이물감을 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양팔의 관절에 엘보 부상까지 예감해야 하는 불안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렇다면 좋은 임팩트, 손맛 짜릿한 임팩트는 어떻게 가능할까. 구력이 짧은 '골린이'(골프+어린이)도 이같은 임팩트를 실현할 수 있을까.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좋은 임팩트는 구력이 쌓이는 것도 한가지 성취 항목일 수 있지만 이보다 더 앞서는 조건은 처음 입문 때부터 다운 블로우 현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우선이다.
이를 얻기 위해 항상 생활 속에서 이뤄지는 물리적 힘의 현상에 대해 먼저 비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망치로 못머리를 때리기 위해선 우선 팔을 못보다 높은 지점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골프에서 백스윙을 완성하기 위해 클럽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흡사하다.
망치를 잘 다루는 목수의 경우 망치를 쥔 손이 먼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어깨와 삼·이두 근육을 움직이고 망치가 못머리에 다가갈 때 팔목의 전완근을 작동해 망치 무게감을 못에 올려놓는다.

이 순간에 작동하는 지구적 원리가 바로 중력이다. 골퍼가 알든 모르든 중력의 힘이 내려치는 동작에서 함께 쓰이는 순간 망치가 내려치는 무게감과 일치한다.
그러나 올려치는 어퍼블로우 동작에는 이처럼 공짜 파워인 중력이 작동하지 않아 골퍼가 힘을 최대한 쓰면서도 효과는 별반 거두지 못하는 밑지는 장사를 하게 된다.
골프에서 헤드 무게를 느껴야 한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존재한다. 백스윙으로 들어 올린 클럽이 공짜 중력을 제대로 이용하려면 반드시 갖춰야 하는 동작이 다운스윙 때 리듬감각이다.
이 감각이 내려치는 동작을 매끄럽게 이끌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힘으로 최대의 효과를 이끌어 내는 엔진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필자는 리듬의 반대개념으로 다운스윙 때 골퍼 스스로 더 강하게 볼에 다가서려 힘주는 동작을 지목한다. 힘주는 동작은 리듬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중력의 공짜 파워를 날려버리는 최악의 잘못된 테크닉이 된다.
볼이 눈앞에 어른거리는 상황에서 손에, 팔에 힘이 들어가는 것이 자연스런 현상이 아니냐고 항변한다면 결국 고수의 골프는 이 영역을 변화시켜 힘을 제거하는 과정이라고 대답할 수 있다.
이렇게 힘을 빼는 과정을 수련하는 동안 가장 큰 변화가 발생하는 것은 '클럽이 휘돌아가는 스피드가 점점 빨라진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비로소 이 경지에 다다르게 되는 골퍼가 제대로 된 손맛과 임팩트를 얻게 된다는 점을 되새겨 보자.

출처 매일 신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