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석유화학/정유/태양광 주간 동향_페인트 관련 체인, 꼭 하나는 담아두자

by 7 investment 2021. 4. 5.
반응형

▶ 석유화학(Overweight): 페인트 관련 체인, 꼭 하나는 담아두자

□ 납사(↓): 573.6$/톤. WoW -0.4% 3주 하락 / US 프로판(↑): 501.9$/톤. WoW +7.1%. 2주 상승. 사우디 4월 CP 560 $/톤(MoM -10.4%)

 

 에틸렌(↑)/프로필렌(↓)/벤젠(↑)/SM(↑): 에틸렌(+10$, +1.0%), 프로필렌(-50$, -4.4%), 벤젠(+38.3$, +4.7%), SM(+36$, +3.2%)

 

 합성수지(혼조): HDPE(-20$, -1.6%), LDPE(-40$, -2.5%), LLDPE(-30$, -2.5%), PP(보합), PVC(보합), ABS(+50$, +2.1%), PS(보합)

 

 고무체인(혼조): BD(보합), SBR(+50$, +2.4%), 천연고무(-40.5$, -2.4%). BD 1주 보합. 천연고무 3주 하락. SBR 1주 상승

 

 화섬체인(↘): PX(-10.7$, -1.3%), PTA(-10$, -1.6%), MEG(보합), PET Bottle(보합), 면화(-2.4$, -3.0%) - PX/PTA 1주 하락. PET/MEG 1주 보합. 동중국 MEG 재고 WoW -2.6만톤(-4.0%) 감소. 중국 폴리에스터/PTA 가동률 90.7%/79.4%

 

 페놀체인(↗): 페놀(보합), 아세톤(+10$, +0.8%), BPA(+50$, +1.6%). 페놀 1주 보합. 아세톤 1주 상승. BPA 6주 상승  기타(↘): PA(-40$, -4%), CPL(보합), AN(-200$, -7%), MDI(보합), TDI(보합), ECH(-30$, -2%), VAM(+60$, +3%), PO(-140$, -5%)

 

총평

1) 시황 전반 혼조. 최근 자동차 등 일부 전방업체 가동차질 영향. 시황 강세 의견 유지. 특히, 주택/건설 관련 제품인 PVC/가소제, 페인트/페놀체인, 우레탄체인 견조. 관련 업체 관심 필요.

Top Picks 금호석유/롯데케미칼/효성화학/롯데정밀/애경유화

 

2) 사우디 프로판 CP 1년 만에 하향(MoM -10%). PDH 수익성 개선 요인

 

3) 페인트의 가장 큰 전방은 건설(38%), 선박(18%), 자동차(14%), 기계(10%). 미국 등 글로벌 주택 시장 호조 및 인프라 투자 확대, 선박 발주량 증가 및 관련 기자재 수요 확대 등을 감안할 때, 2021년 페인트 관련 원재료의 강세 가능성 높음.

페인트는 수지(Resin), 안료(Pigment), 용제(Solvent), 첨가제(Additive)로 구성. 비중은 각각 44%, 32%, 20%, 4%. 수지는 페인트의 골격이자 기능을 결정.

안료는 색상을 가진 분말로 페인트에 색을 부여. 용제는 페인트를 묽게 해 도장을 용이하게 함.

첨가제는 물성 향상.

수지의 대표제품은 에폭시. 이는 BPA+ECH 혼합해 제조. 아크릴/우레탄수지도 있음.

안료의 대표제품은 Tio2(이산화티타늄). 용제에는 BTX 사용.

 

첨가제에는 DOP(가소제) 사용. 이외에 VAM, 헤셀로스(롯데정밀의 수용성 페인트 원료)도 원료

 

 

4) 3/30일 아시아 에폭시는 4,575$/톤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 경신.

3/31일에는 5천$/톤 상회할 가능성도 언급. 참고로, Oiln/Hexion 등은 미국 4월 에폭시 가격을 1~1,600$/톤(약 +20~30%) 상향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수요 강세 하에서 국도화학의 중국 Kunsan 플랜트가 작년 10월 이후 중단된 상태이며, 단기적으로는 사우디 Jubail Chemical의 BPA 부족에 따른 가동중단이 영향을 주고 있음. 중국 에폭시 주요 플레이어의 정기보수가 4월 중순~5월 초까지 예정되어 있어 상반기 에폭시 강세 가능성 높아. 에폭시 강세로 BPA, ECH 강세 지속

 

5) 국도화학(에폭시), 금호석유(에폭시/BPA), 롯데정밀화학(ECH, VAM, 헤셀로스), Tio2업체(미국 Chemours/Tronox 등), 애경유화(DOP) 관심

 

 

▶ 정유(Overweight): 정제마진 보합. 휘발유 회복 긍정적

 유가(혼조): WTI 61.45$/bbl(선/ +0.5$/bbl, +0.8%), Dubai 61.51$/bbl(현/ -0.6$/bbl, -0.9%)

 정제마진(↔): 평균 복합정제마진 2.8$/bbl(보합). 1주 보합. 휘발유 10$/bbl 상회. 등/경유 약세

 미국 정유사 가동률 83.9%(WoW +2.3%p) 기록. 중국 Teapot/국영 가동률 각각 72.4%(+0.5%p)/68.3%(-0.9%p)

 

총평

1) 정제마진 보합. 휘발유 10$/bbl 상회 긍정적

2) 미국 가동률은 84% 수준까지 상승했고, 휘발유, 등/경유 재고는 여전히 낮은 수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