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54

(제조업)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수수료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수수료 입니다. 해당되는 심사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수수료가 변동됩니다. 2020. 9. 7.
외국인 근로자용 안전보건표지(화재폭발 예방) 외국인 근로자용 안전보건표지(화재폭발 예방) 인쇄용 파일(4종,16개국) - 금연, 인화성물질경고, 화기금지, 비상구 2020. 9. 7.
산업안전,보건 관련 교육과정별 교육 시간 산업안전,보건 관련 교육과정별 교육 시간 입니다 - 관리감독자 교육 : 연간 16시간 - 채용시 교육 : (일용직) 1시간, (일용직 제외) 8시간 -건설업 기초안전보건 교육 : 4시간 2020. 9. 5.
중대재해 정의(발생보고 양식) 1. 산업재해 중 사망 등 재해 정도가 심한 것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재해를 말한다. 2.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4.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이상 발생한 재해 ○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4조에 의거하여(위반시 과태료 부과) -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사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산업재해가 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산업재해 조사표를 작성하여 관할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고하여야 하고, - 산업재해 사망자가 발생한 중대재해의 경우 재해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된 경우에는 지체없이 산업재해 조사표 및 중대재해 발생보고를 작성하여 관할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 2020. 9. 5.
연소의 3요소와 소화방법 ■ 연소의 3가지 요소 1. 가연물 : 가연물이란 산소와 반응시 발열에 의해 연소가 계속되는 물질 2. 산소공급원 : 공기 속에는 21%의 산소와 79%의 질소가 혼합 존재하며, 그 중 산소는 다른 원소와 결합하기 쉬운 기체로 존재한다. 3.점화원 : 점화원이란 물질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을 말한다. ■ 소화방법 가연물,산소공급원,점화원 중 한가지 요소만 없애면 소화 할 수 있다. 1)가연물 제거 >가연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제일 효율적인 방법 2)산소공급원 차단 >산소공급원을 차단하면 연소는 멈추고 산소가 적어지면 연소는 계속하기 어려움 3)점화원 제거 4)냉각에 의한 온도저하 2020. 9. 4.
감전재해 유형 1. 감전사고 발생 유형 1)전로 상호간에 직접접촉 > 인체가 전로 상호간 충전부에 직접접촉 되어 전격(전기충격)을 받는다. 2) 대지에서 충전부에 직접접촉 > 인체가 대지에 서있는 상태에서 인체의 어느 한부분이 충전부에 직접접촉 되면 전격을 받는다. 3) 누전상태의 기기 외함에 접촉(간전접촉) > 전기기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절연재가 열화되거나 물기에 의하여 흡습상태가 심하면 전류가 외함으로 새어나오게 되며 이를 누전이라 한다. >누전이 발생하 외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 내부의 전선에서 외함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격을 받음 4)공기의 절연파괴(섬락) >인체가 고전압 전로에 너무 가깝게 접근하게 되면 공기의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하여 감전사고를 당하게 됨 >공기의 절연파괴는 30KV/cm 정도이므로 .. 2020. 9. 4.
감전 안전한계 1. 교류의 감전 통전 전류와 통전 시간 관계A : 감지전류(0.5~1mA) B : 가수전류(5~10mA) C : 심실세동전류(50~100mA) 1번구역 : 안전영역 2번구역:감지영역 3번구역:경련영역 4번구역:심심세동구역 2.직류의 감전 통전전류와 통전시간 관계DC는 에 AC비해 4~5배의 통전 전류가 흐를때 위험도가 비슷함 2020. 9. 4.
자율안전확인신고 및 성능시험 길라잡이 자율안전확인신고 및 성능시험 길라잡이 입니다. 첨부 파일 참조하세요 2020. 9. 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2020) 만화로 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2020)입니다. 분야별 구분 파일(웹용)입니다. 2020.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