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자료

전기화재 출화의 경과(발화형태)

by 7 investment 2025. 1. 7.
반응형

출화의 경과(발화형태)

※ 화재 발생시 조사해야 할 사항
  (전기 화재의 원인):발화원,
  착화물, 출화의 경과(발화형태)

1. 단락(합선)
- 저압전로에서의 단락전류는 대략      
  1,000[A] 이상으로 보고 있으며,
  단락하는 순간 폭음과 함께
  스파크가 발생하고 단락점이
  용융됨

2. 지락
- 발화까지 이를 수 있는 누전전류의 최소치:300∼500[mA]

3. 과부하
-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의 제곱과 전선의 저항값의 곱에 비례하는 열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하는 열량과 주위 공간에 빼앗기는 열량이 서로 같은 점에서 전선의 온도는 일정하게 된다. 이 일정하게 되는 온도(최고허용온도)는 전선의 피복을 상하지 않는 범위 이내로 제한되어야 하며 그 때의 전류를 전선의 허용전류라 하며 이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를 과전류라 함

4. 스파크
※ 발화의 원인스파크 발생시 가연성 물질 또는 인화성 가스가 있으면 착화, 인화됨

5. 접촉불량
※ 발화의 원인접촉부 발열은 국부적이고 특히 접촉면이 거칠어지면 접촉저항은 더욱 증가되어 적열상태에 이르게 되어 주위의 절연물을 발화

6. 절연불량 또는 탄화

7. 낙뢰
※ 발화의 원인낙뢰시 발생하는 대전류가 땅에 이르는 사이에 순간적으로 방대한 열을 발생하여 이것이 열을 발생하여 가연물을 발화

8. 정전기 스파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