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화의 경과(발화형태)
※ 화재 발생시 조사해야 할 사항
(전기 화재의 원인):발화원,
착화물, 출화의 경과(발화형태)
1. 단락(합선)
- 저압전로에서의 단락전류는 대략
1,000[A] 이상으로 보고 있으며,
단락하는 순간 폭음과 함께
스파크가 발생하고 단락점이
용융됨
2. 지락
- 발화까지 이를 수 있는 누전전류의 최소치:300∼500[mA]
3. 과부하
-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의 제곱과 전선의 저항값의 곱에 비례하는 열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하는 열량과 주위 공간에 빼앗기는 열량이 서로 같은 점에서 전선의 온도는 일정하게 된다. 이 일정하게 되는 온도(최고허용온도)는 전선의 피복을 상하지 않는 범위 이내로 제한되어야 하며 그 때의 전류를 전선의 허용전류라 하며 이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를 과전류라 함
4. 스파크
※ 발화의 원인스파크 발생시 가연성 물질 또는 인화성 가스가 있으면 착화, 인화됨
5. 접촉불량
※ 발화의 원인접촉부 발열은 국부적이고 특히 접촉면이 거칠어지면 접촉저항은 더욱 증가되어 적열상태에 이르게 되어 주위의 절연물을 발화
6. 절연불량 또는 탄화
7. 낙뢰
※ 발화의 원인낙뢰시 발생하는 대전류가 땅에 이르는 사이에 순간적으로 방대한 열을 발생하여 이것이 열을 발생하여 가연물을 발화
8. 정전기 스파크
반응형
'기술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7가지) (0) | 2025.01.28 |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른 보호도체 선정 (0) | 2025.01.07 |
누전차단기 동작특성 (0) | 2024.12.19 |
피뢰기와 서지흡수기 차이점 (0) | 2024.05.02 |
피뢰기의 정격전압 (0)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