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원익QnC (074600)_22년 1,000억원대 영업이익 달성할 전망

by 7 investment 2021. 4. 14.
반응형
Quartz Ware 및 세라믹 제품 생산
  • 반도체 웨이퍼 등의 생산에 필요한 Quartz Ware, 세라믹 제품의 제조업과 반도체 소재부품의 세정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Quartz Ware 부문 글로벌 1위 업체로, 대만, 독일, 미국에 Quartz Ware의 제조 및 판매를 위한 현지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두고 있음.
  • Quartz Ware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체로 납품하거나 현지법인을 통해 해외에서 판매하며, 세라믹과 세정 부문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등으로 납품함.

매출 증가 및 순이익 흑자 전환
  • COVID-19 확산으로 각국이 셧다운되어 미국, 독일 등에 Quartz Ware, Ceramic 및 램프 수출은 감소하였으나, 내수 및 대만 수출 호조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큰 폭 증가.
  • 매출 증가에도 판관비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은 정체되었으며, 관계기업에 대한 손실 미발생 등으로 순이익은 흑자 전환하였음.
  • COVID-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향 Quartz 판매 증가 이어지며, 자회사로 편입된 모멘티브의 실적개선 등으로 성장세 및 수익상승세 이어질 듯.

21년 연결 영업이익 756억원 전망 21년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822억원(YoY 11%), 756억원(YoY 13%, OPM 13%)을 달성할 전망이다. 기존 영업이익 추정치에 연말 성과급 40억원을 추가(성과급 90억원 가정)로 반영했다.

 

▶ 연결자회사 MOMQ(모멘티브)의 영업 적자가 지난해 149억원에서 올해 8억원으로 대폭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COVID19 영향으로 급감했던 산업용 세라믹 소재 수요가 올해 들어 반등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일부 고객사 대상으로는 세라믹 소재 판가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더불어 MOMQ의 주력사업인 반도체용 쿼츠소재 수요도 지난해 대비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 올해 TSMC, 삼성전자 등 반도체 업체들의 Capex가 가속화되면서 쿼츠웨어와 같은 소모성 공정부품에 대한 수요증가 모멘텀이 부각될 것이다.

 

 

22년 1,000억원대 영업이익 달성할 전망

22년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551억원(YoY 13%), 1,017억원(YoY 16%, OPM 16%)으로 사상 첫 1,000억원대 영업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MOMQ를 포함한 쿼츠사업부의 지속적인 실적 성장과 세정사업부의 실적 Level up이 호실적 전망에 대한 근거다.

 

▶ 22년 쿼츠사업부(MOMQ포함)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454억원(YoY 10%), 770억원(YoY 23%, OPM 14%)으로 추정한다. 20년 149억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기록하던 MOMQ의 영업이익은 21년 -8억원, 22년에는 67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할 전망이다.

 

▶ 동사 세정사업부가 주력 고객사의 Coating공정 변화를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CVD, APS 등 진입장벽이 높은 Coating 공정이 도입되면 동사의 점유율 확대가 가속화될 것이다.

 

 

적극적인 매수 전략 권고, 목표주가 35,000원으로 상향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27,000원에서 35,000원으로 상향하고 적극적인 매수 전략을 권고한다. 투자포인트는 다음 세가지로 요약된다. 1) 1분기부터 재차 사상 최대 실적을 갱신할 전망이고, 2) 쿼츠사업부는 3D NAND / 파운드리 업체들의 Capex 경쟁에 따른 수혜가 집중되고 있으며, 3) 코팅 방식이 진화하면서 동사 세정코팅사업부 가치가 재조명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유안타증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