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격 · 감전의 영향요인(결정요인)
1) 통전전류의 크기
① 전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 감전시간과 비례하여 영향력 증가한다.
② 10mA 이상일 시 상해가 발생하고, 1A 이상일 시 심장이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③ 인체에 전압이 인가되어도 전류 통전이 없으면 전격발생이 없다.
2) 전원의 질
① 직류보다 교류가 더 위험하다. 고주파수보다 저주파수가 더 위험하다. ② 전압보다 전류가 더 위험하다. 전압 높을수록 쇼크로 인한 2차 재해가 더 위험하다. ③ 인체는 50~60 Hz인 교류전류에 가장 취약하다. 100mA 정도가 치사전류 한계이다.
3)통전경로
① 인체의 통전경로에 따라 인체의 내부저항이 달라지고, 신체장기에 미치는 위험도② 심실세동은 심장을 통한 감전경로가 형성된다. 기타 경로는 쇼크로 인한 2차 재해
4) 통전시간
① 전격에 의한 위험은 통전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② 통전시간 증가 시 열에너지가 축적되어 인체 내부 조직의 괴사증가 및 신경회로③ 위험전류의 한계는 Dalziel과 Koeppen의 이론이 있다.
5) 인체의 감전조건
① 인체의 저항은 감전전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② 피부 건조 시와 습할 경우 피부저항이 100배 이상 차이가 나며 전격의 직접적③ 노인보다 어린이가 위험하고, 남자보다 여자가 더 위험하다.
6) 주위환경(기타)
충전부에 접촉된 상태, 대지면에 접촉된 상태, 자연 기후조건 등
반응형
'기술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전압 정의 (0) | 2021.03.13 |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목적과 역할 (0) | 2021.03.13 |
전격의 정의 및 원인 (0) | 2021.03.12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설비 5가지 (0) | 2021.03.12 |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 중대사고 (0) | 202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