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속용해로란? 고체재료를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해할 목적으로 제조된 노로서 가열하는 방식에는 코크스·석탄 가스·천연가스·중유·석탄 등을 연료로 하는 것과 전열식(電熱式)으로 행하는 것, 아크열을 이용하는 것 등이 있으며, 이 밖에 용해하려는 물질이 전기도체일 경우에는 그 자체에 유도전류(誘導電流)를 흘려서 저항 발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유도가열방식도 있다.
■주요 위험요인
▷용해대상 금속의 잔류수분에 의한 수증기 폭발
▷용융물 비산에 따른 화상
▷고열작업에 따른 열경련·열탈진 등 건강장해
■ 안전대책
● 용해대상 금속에 대한 수분유입 방지조치 철저
- 옥내 별도의 보관장소에서 보관
- 용해로 투입 전 건조작업 실시
- 고철재료 입고 시 수분함유 여부에 대한 검수 철저
● 내화벽돌 등 내화재의 설치기준을 준수
● 고열 감소용 국소배기장치 설치
● 작업장소 내 냉방 또는 통풍설비 설치
● 용해로 내화재 손상 검출장치 작동상태 확인
● 고열의 금속찌꺼기는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
● 고열작업장소에 적합한 개인보호구 착용
- 방열복, 안면보호구 등의 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
반응형
'건축, 전기, 기계, 화공,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단기의 AF, AT에 대한 정의 (0) | 2021.02.21 |
---|---|
제조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설비(용해로) (0) | 2021.02.15 |
2020년 위험성평가 해설지침서 (0) | 2021.01.18 |
폭발위험장소 구분 (0) | 2021.01.18 |
접지계통과 비접지계통 방식 비교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