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누전차단기의 설치 환경조건
1) 주위온도에 유의할 것
누전차단기는 주위온도가 - 10~40℃ 범위 내에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조 및 기능이 설계
2) 표고 1,000m 이하의 장소로 할 것
표고가 높아지면 기압, 공기밀도가 저하되므로 차단기 차단능력의 저하 및 온도상승에 따른 절연내력의 저하를 고려
3) 비나 이슬에 젖지 않는 장소로 할 것
누전차단기의 구조는 옥내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옥외에서 사용할 경우 방수 구조의 함 내에 설치 · 사용
4) 먼지가 적은 장소로 할 것
누전차단기는 방진구조로 되어 있으나 배선용차단기 등과 짝지은 것 등은 그 성능상 개구부가 필요하며 완전한 방진조치가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먼지는 습기 등과 함께 내부의
반도체 및 가동부분 배선 등을 열화시기는 원인이 됨
5) 이상한 진동 또는 충격을 받지 않는 장소
누전차단기는 내구시험으로서 진동 및 충격에 대한 시험을 하지만 영상변류기의 구조상 아주 강한 충격은 그 성능을 크게 변화시국 사용불능이 됨
6) 습도가 적은 장소로 할 것
누전차단기는 상대습도 45~80%
사이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습기찬 지하실이나 터널 등의 속에 오래 설치하면 반도체, 가동뷔분 및 배선 등의 성능이 열화됨
7) 전원전압의 변동에 유의할 것
누전차단기는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85~110%사이에서 그 성능을 만족한다. 극단적인 전압강한 또는 전압상승시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없음
8)배선상태를 건전하게 유지할 것
배선의 절연상태가 나쁘면 누전차단기가 동자하여 작업효력을 저하시리게
되어 누전차단기의 신뢰성을 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음
9) 불꽃 또는 아크에 의한 폭발의 위험이 없는 장소(비방폭지역)에 설치할 것
반응형
'기술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0) | 2021.03.16 |
---|---|
누전차단기 설치(제외) (0) | 2021.03.15 |
전기안전관리자 성실의무 및 직무범위 (0) | 2021.03.14 |
(2020년) 전기안전기술사 122회 기출문제 (0) | 2021.03.13 |
안전전압 정의 (0) | 202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