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전력간의 최선이 방화대책은 화재가 일어나지 않는 일지지만 뜻밖의 사고가 일어난다면 직접
피해는 물론 2차적인 재해나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차선택으로 전력간선의
화재의 확대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전력간선의 화재의 발생원인
1) 케이블 자체의 발화원인
① 지락, 단락, 과전류, 기기의 접속불량에 의한 발화
② 절연체 열화 및 절연파괴에 의한 발화
2) 외부적인 요인
① 방화, 용접 불똥
② 전력간선에 접속된 기기류의 접속파열에 의한 발화
3) 케이블 상황별 연소성
① 직매나 관로보다는 기중이나 동도내가 연소성이 강하다.
② 수평보다는 수직덕트가 연소성이 강하다.
③ 1조포설(단조포설) 보다는 다조포설이 연소성이 강하다.
■ 방지대책
① 케이블 선로, 전기기기의 적정화
② 케이블 점검, 보수 등 유지 관리
③ 케이블 난연화, 불연화
④ 케이블 관통부의 방화조치
⑤ 화재의 조기발견, 초기소화
반응형
'건축, 전기, 기계, 화공,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목적과 필요성 (0) | 2021.01.11 |
---|---|
일반적인 전기계통도(소용량 부하) (0) | 2021.01.11 |
산업용로봇 최초 설치 및 안전검사 주기 (0) | 2021.01.11 |
고조파 정의 및 발생원인 (0) | 2021.01.05 |
전기화재 원인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