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화재의 원인
1) 과전류에 의한 발화
2) 단락에 의한 발화
3) 누전 또는 지락에 의한 발화
* 지락 : 전선의 1 또는 2개의 선이 대지에 접촉되어 전류가 대지로 흐르는 것
* 누전 : 전류가 규정된 전로를 이탈하여 전기가 흐르는 것
4) 접속부의 과열에 의한 발화
- 접촉상태가 불량인 경우 접촉저항에 따른 발열으로 발화하며 아산화동 발열 현상과 접촉 저항에 의해 발화된다.
5) 열적 경화에 의한 발화
- 방열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전기기기의 열축적에 의해 발화
6) 전기 스파크에 의한 발화
- 스위치의 ON/OFF 시의 스파크에 의해 발화될 수 있으며, 스파크는 OFF 시 더 심하다.
7) 절연열화 또는 탄화에 의한 발화
- 배선기구의 절연체 등이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로 인해 절연성이 저하되거나 미소전류에 의한 국부 발열과 탄화 누적으로 발화될 수 있다.
8) 정전기 스파크에 의한 발화
- 정전기 대전에 의해 축적된 전하가 방전되어 발화를 일으킬 수 있다.
9) 낙뢰에 의한 발화
- 낙뢰 시에는 수 만 암페어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절연이 파괴되고 발화할 수 있다.
반응형
'건축, 전기, 기계, 화공,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용로봇 최초 설치 및 안전검사 주기 (0) | 2021.01.11 |
---|---|
고조파 정의 및 발생원인 (0) | 2021.01.05 |
피뢰기(LA) (0) | 2021.01.04 |
벤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0) | 2021.01.04 |
벤젠 노출 근로자의 건강관리 (0) | 2021.01.03 |